1형식: S+V
√ 1형식에 사용되는 동사는 완전 자동사
-완전(보어X), 자동사(목적어X)
-1형식 동사의 특징은 주어가 스스로 행동하는 것에 집중
-다른 대상에 행위를 가하지 않는다.
√ 완전자동사 예시
-go, be동사, lie(눕다), sit, rise, come, exist, stand, emerge, die 등
√ 1형식 문장 예시
-we stayed at home
-the tree died
-poverty still exists
-we arrived at the nursing home in a gloomy mood
2형식: S+V+C
√ 2형식 사용되는 동사는 불완전 자동사
-불완전(보어O), 자동사(목적어 X)
-2형식은 동사자체의 뜻보다는 주어에 대한 상태 설명에 집중
-이제부터 주의할 것은 모든 동사가 자동사 or 타동사 중 한가지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. 둘 다 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히 알아보기
√ 2형식 동사 예시
-be동사, seem, become, taste, feel, grow, turn, get, remain, smell
√ 2형식 문장 예시
-fine dust is a major problem
-tom is lonely
-the sofa in the center of the stage looks familiar
-eggs remain fresh for days without refrigeration
3형식: S+V+O
√ 3형식 동사는 완전 타동사
- 완전(보어X) 타동사(목적어 O)
- 타동사는 반드시 목적어(명사)가 필요하기 때문에 주어가 행위(동사)를 가하는 대상(목적어)가 존재
√ 3형식에 자주 쓰이는 동사
-marry, attend, resemble, reach, enter, discuss, explain, answer, approach 등
√ 3형식 문장 예시
-I bought a bag
-she enters the university
-fossil fuels create environmental problems
-sara marry him
*2형식과 3형식 쉽게 구분하는 방법!
√ 2형식 S+V+C
=2형식은 C가 주어에 대한 상태, 직업, 상황, 기분, 동격 등등을 설명하는 것임으로 주어와 같다
•S=C 2형식
√ 3형식 S+V+O
=3형식은 주어가 목적어라는 다른 대상에게 동작(동사)을 가하는 것임으로 주어와 목적어는 전혀 다른 객체이다.
•S≠O 3형식
4형식: S+V+IO+DO
√ 4형식 동사도 완전 타동사
-3형식과는 다르게 2개의 목적어를 가지게 됨
-IO(indirect 간접 목적어), DO(direct 직접 목적어)
-IO(~에게), DO(을/를)
-100%는 아니지만, IO자리에는 사람이 들어갈 확률이 높고, DO자리에는 사람을 제외한 사물 등이 올 확률이 높다
√ 4형식에서 자주 쓰이는 동사
-give, buy, show, teach, tell 등
√ 4형식 문장 예시
-he gave me a present
-his dad shows him a wonderful movie
-you bring me a pencil
•4형식 문장 3형식으로 바꾸는 방법
-S+V+IO+DO에서 S+V+DO까지 먼저 작성한 후 전치사를 쓰고 IO를 마지막에 쓴다
Ex) I give you present
→I give present to you
5형식: S+V+O+OC
√ 5형식은 불완전 타동사
-불완전(보어O), 타동사(목적어O)
-5형식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에 주의해서 해석
-주어는 목적어가 목적격 보어하도록 동사한다
(즉 목적어가 목적격 보어를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춰야 함)
√ 5형식에서 자주 나오는 동사
1)지각동사= O와 OC 관계가 능동일 경우 OC자리에 ing 또는 동사원형
2)사역동사: have, let, make(~하게하다)= O와 OC관게가 능동일 경우 OC자리에 동사원형
√ 5형식 문장 예시
-we call him ben
-the light makes my room unique
-you make me happy
*4형식과 5형식 쉽게 구분하는 방법!
√ 4형식 S+V+IO+DO
=4형식은 IO≠DO
=IO에게 DO를 주어가 동사하는 것이므로 두개는 다른 객체이다.
Ex) I give you book
나는 너에게 책을 주었다
IO인 you와 DO인 book 책은 전혀 다르다.
√ 5형식 S+V+O+OC
=5형식은 O=OC
**OC목적격 보어는 목적어에 대한 상태, 행위 등의 설명
=주어가 O가 OC하도록 동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같다고 볼 수 있다.
Ex) I make you happy
나는 너를 행복하도록 만들었다
결론은 주어인 내가 행복한 것이 아니라 너가 행복한 것이므로
목적어인 you= 목적격 보어인 happy는 같다고 할 수 있다.